[스크랩] 실험설계의 장단점
** 실험설계
비실험설계와 실험설계의 기본적인 차이는 독립변수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과 다른 조건의 통제이다.
실험조사설계는 자연과학에서와 같은 실험의 원리를 적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통제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인과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탐구방법이다.
내적타당도는 높지만 실제 상황에 적용되는 외적 타당도는 낮다, 난선화를 통하여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통제하고 독립변수의 조작을 통하여 변수간의 여향을 미치는 방향을 추정하여 인과관계를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과학적 방법이지만 실험조사는 현실상황(자연적상황)을 떠난 속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그 결과가 현실상황에로 일반화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조사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 비실험설계
연구의 대상과 상황에 있어서 독립변수의 조작도 불가능하고 난선화도 불가능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 적용되는 조사설계가 비실험조사설계이다.
비실험조사설계는 자료수집방법(또는 관찰방법, 검사방법)이 서베이(survey: 설문, 면접에 가까움. 선정된 표본으로부터 질문지 또는 면접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의 조사) 인 경우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사회복지학을 포함하여 사회과학전반에 있어서 실제로 더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비실험조사의 제한점: * 독립변수를 조작할 수 없는 점.
* 조사대상을 난선화할 수 없는 점.
* 부적절한 해석을 하게 될 위험성이 있다는 점.
비설험조사는 내적 타당도에 있어서 실험조사보다 낮지만, 외적 타당도에 있어서는 높은 편이며, 전후조사나 난선화가 없으므로 두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인과적으로 추정하는 것은 위험성이 크다.
조사를 실제로 행하는 데 있어서는 현실적인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주어진 여건하에서 가장 바람직한 조사설계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