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편지

세상을 살다보면 ...

이쁜꽃향 2010. 8. 23. 13:00

      세상을 살다보면 ... 세상을 살다 보면
      미운 사람도 많습니다. 사랑하고픈 좋아하고픈 친해보고픈 사람도 많습니다. 그래서 사랑하다 보면 괴로움이 따릅니다. 때로는 사랑해선 안 되는 사람이어서 때로는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이어서 아픔도 따르고 괴로움도 따릅니다. 그렇다고 사랑 없이는 하루도 살 수없습니다. 괴로움 슬픔 아픔이 따른다고 사랑을 하지 않는다면 삶이란 것 자체도 괴로움의 연속이니 살지 말라는 말과 같습니다. 아파도 괴로워도 우리는 살아야 하고 사랑해야 합니다. 그래서 좋아하고
      그래서 사랑하다 보면 때로는 실망하고 때로는 배신의 아픔으로 미움을 갖게 됩니다. 배신의 아픔은 우리가 그에게 반대급부를 바라고 있었음을 반증합니다. 조건 없이 바람 없이 주고 사랑했다면 돌아서 가는 사람은 그것으로 그만 입니다. 미움도 아픔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사랑은 기쁨이지만 괴로움이 동반되듯 누군가를 미워하면 그것은 더욱 자신을 아프게 합니다. 미워하는 마음은 희망 없는 아픔이요 희망 없는 괴로움입니다. 사람이니까 그럴 수 있으려니 사람이니까 변하고 배신할 수 있으려니 하고 그냥 내 마음에서 그들을 놓아줍니다. 마음에 간직해서 괴로운 미움을
      마음에서 지우고
      그 사람의 기억도 지워버리는 겁니다. 내 인생의 장부에서
      지워서 보내고 놓아주는겁니다. 살아가면서 인생을 기록하면서 그 기록이 쌓이는 것으로 짐을 만들기보다는 적절히 기억을 기록을 지우고 삭제할 줄 아는 지혜로움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 마음을 열어주는 따뜻한 편지 중에서 - 사람을 움직이는 무기는 입이 아니라 귀다. 대화의 질은 서로 상대의 이야기를
      얼마나 잘 들어 주는가에 달려있다. 같은 요구라 해도
      자기의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의 요구에 더 잘 따른다. 옳은 말 하는 사람보다
      이해해 주는 사람이 좋다. 아이들이 가장 듣기 싫어하는 말은
      부모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이다. 부모가 많이 쓰는 말일수록
      아이들에게는 필요하며 옳은 말인데도 말이다. 옳은 말인줄 알면서도
      아이들이 거부감을 느끼는 것은
      부모가 아이의 입장이나 처지를 이해하고 감정을 인정해 주는
      공감이 결여 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공감이 없으면 아이들에게는 간섭으로 들릴 뿐이다. 자기 주장을 똑 떨어지게 하지는 않지만 내 입장을 잘 이해해 주는 사람에게는 시기할 필요도 없으며
      부담을 느끼지도 않는다. 존경받는 상사나 훌륭한 부모는 상대의 입장이나 처지를 배려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 남다르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지적인 능력이 아니라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를 조화롭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