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편지

추석의 유래

이쁜꽃향 2008. 9. 14. 18:48

      추석의 유래/추석 잘 보내고 오세요 추석(음력 8월15일) 삶이 아무리 어렵고 힘겨워도 이날만큼은 꼬까 옷 입고 결실의 기쁨을 만끽해 보는 날 조상님께 정성껏 올린 차례상과 음식들 즐겁기만 합니다. 유래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해요. '한'이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란 뜻입니다. 그러니까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란 뜻이지요 '가위'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나온 말이라고 해요. 신라 유리 왕 때 여자들을 두 패로 갈라서 베를 짰는데 한 달 뒤 결과를 봐서 승패를 결정했습니다.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잔치로 갚음을 했는데 여기서 '가배'란 말이 나왔고 나중에 '가위'란 말로 변했다고 해요. 그 후로 한가윗날 베를 짜는 풍습은 오랫동안 지켜져 내려왔습니다. 풍습 추석은 옛날부터 설날과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꼽혔습니다. 새로 나온 과일과 곡식으로 상을 차려 차례를 지내고 산소에 성묘를 했습니다. 농사일로 바빴던 일가 친척들이 모처럼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눠 먹고 놀이도 했습니다. 특히 시집간 딸이 친정 어머니와 중간에서 만나 가져온 음식을 나눠 먹으면서 회포를 푸는 중로상봉을 하기도 했습니다. 추석은 풍성함을 감사하고 나누는 날이라 아무리 가난한 사람도 떡을 빚어 나눠 먹었습니다. 그래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란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놀이 전국적으로 여러 가지 놀이가 있습니다. 호남 남해안 일대의 강강술래, 전국적인 소먹이 놀이, 소싸움, 닭싸움, 소놀이, 거북놀이, 줄다리기, 가마싸움 등은 풍년을 축하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요즘에는 언제부터 생겼는지 불꽃놀이를 많이들 합니다. 음식 '추석' 하면 뭐니뭐니 해도 송편입니다. 멥쌀가루를 뜨거운 물에 반죽해서
      속에 깨나 팥, 콩, 밤 등을 넣어 반달 모양으로 빚습니다. 쪄서 찬물에 헹군 다음 참기름을 고루 바르면 완성입니다. 추석 전날 온 가족이 모여 송편을 만들죠.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예쁜 아기를 낳는다고 해서 정성을 다해 빚습니다. 이 때는 추수가 끝나 새로 난 곡식과 과일 등이 풍성해 다양한 햇 음식을 먹습니다. 음식의 종류로는 송편, 토란탕, 닭찜, 배숙, 햇밤, 송이 회, 송이버섯 탕, 송이산적, 송이밥, 화양 적, 청포묵 전, 감자전, 모듬나물 부침, 삼색 전, 느타리버섯산적, 녹두부침 등이 있습니다. "일년 내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일상 속에 힘들고 외로웠던 일들은 모두 잠시 접으십시오.무거웠던 삶의 짐도 모두 다 내려놓으십시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지세요~~ 함박웃음 가득한 한가위,
      사랑과 정겨움이 넘치는 넉넉한 추석, 가을 들녘처럼 행복지수가 가득 가득한 풍요롭고 즐거운 명절 되시길...
      찾아갈 수 있는 고향이 있다는 것은 참으로 행복한 일이 아닐까요... 고향길 가시는 걸음걸음 기쁨과 사랑이 가득한 발걸음 되시길 ... 고향 방문 하지 못한 친구는
      마음으로라도 함께...
      평소에 소망 하셨던 일들 보름달 보며 소원 빌어 보시고 뜻하시는 일들 꼭 이루시길... 고향길... 정겨운 고향, 그리운 고향 안전 또 안전 ...
      기쁨과 사랑이 가득한 한가위 되시길...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한가위  (0) 2008.09.16
인연은 받아들이고 집착은 놓아라  (0) 2008.09.16
아침에 우리는 행복하자  (0) 2008.09.10
재산이 없어도 줄 수 있는 7가지  (0) 2008.09.09
마음으로 참아내기  (0) 2008.09.08